신화/메소포타미아 신화
메소포타미아 - 이난나
김마농
2009. 4. 19. 19:15
Inanna, 이슈타르 Ishtar
'하늘나라의 여주인'인 이난나는 메소포타미아 신들 가운데 성격이 가장 복잡하면서도 여러 측면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한 신이다. 사랑과 성적매력과 전투의 여신인 이난나는 수메르뿐만 아니라 후대의 다른 신화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진다
한 이야기에는 120명의 연인으로도 성에 차지 않았다는 구절이 나온다. 이난나는 후대의 서아시아 신화에 변형된 모습으로 나오며, 다른 문화권에서도 아스타르테(가나안), 키벨레(아나톨리아), 아프로디테(그리스), 베누스(로마)등으로 다시 등장한다.
우루크의 수효 여신인 이난나는 밤 하늘에서 달을 제외하고 가장 밝은 천체인 금성과 동일시되며, 금성이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것은 이난나가 하계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는 것으로 설명되었다. 이 이야기는 영혼이 산 자의 땅에서 죽은 자의 땅으로 여행한다는 보편적인 신화 중 가장 오래된 것에 속한다.
이난나는 <길가메시>에서도 주연급으로 등장한다. 매춘부의 보호 여신이기도 한 그녀는 이난나를 상징하는 사제가 살아 있는 실제 왕과 정사를 치르는 신년제에서 가장 중요한 신으로 받들어진다. 이 의식은 왕과 이난나를 상징하는 신전의 매춘부가 공개적으로 치렀을 것이다.
'하늘나라의 여주인'인 이난나는 메소포타미아 신들 가운데 성격이 가장 복잡하면서도 여러 측면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한 신이다. 사랑과 성적매력과 전투의 여신인 이난나는 수메르뿐만 아니라 후대의 다른 신화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진다
한 이야기에는 120명의 연인으로도 성에 차지 않았다는 구절이 나온다. 이난나는 후대의 서아시아 신화에 변형된 모습으로 나오며, 다른 문화권에서도 아스타르테(가나안), 키벨레(아나톨리아), 아프로디테(그리스), 베누스(로마)등으로 다시 등장한다.
우루크의 수효 여신인 이난나는 밤 하늘에서 달을 제외하고 가장 밝은 천체인 금성과 동일시되며, 금성이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것은 이난나가 하계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는 것으로 설명되었다. 이 이야기는 영혼이 산 자의 땅에서 죽은 자의 땅으로 여행한다는 보편적인 신화 중 가장 오래된 것에 속한다.
이난나는 <길가메시>에서도 주연급으로 등장한다. 매춘부의 보호 여신이기도 한 그녀는 이난나를 상징하는 사제가 살아 있는 실제 왕과 정사를 치르는 신년제에서 가장 중요한 신으로 받들어진다. 이 의식은 왕과 이난나를 상징하는 신전의 매춘부가 공개적으로 치렀을 것이다.